2016년 1월 18일 월요일

프리미어 툴 사용법과 팁

목차


편집툴 설명

Track Select Forward Tool

커서가 위치한 지점의 전방의 모든 트랙의 클립이 선택된다
Shift를 누르면 단일 트랙만 선택가능하다
Backward는 반대방향

Ripple Edit Tool

클립의 길이를 늘리거나 줄인만큼 다른 공간도 따라 움직인다
예를들어 뒤에 클립과 30초 간격이 있었다면
뒤로 쭈욱 늘리면 뒤의 클립도 밀려나며 30초 간격을 그대로 유지한다
반대로 뒤에 클립과 딱 붙었을 경우 일반 툴로 줄이면 그대로 빈공간이 생기지만
물결툴을 사용하면 뒤의 클립이 따라오며 공간이 생기지 않는다

Rolling Edit Tool

클립들이 붙었을 경우만 작동하는데
물결툴은 다른 클립과 간격만 유지하지 다른 클립의 내용은 건드리지 않는반면
이건 이쪽의 길이를 조정하면 다른 쪽의 길이도 그만큼 조정된다
두 개의 클립의 전체길이는 그대로면서 한쪽을 줄이면 한쪽이 늘어나는 식이다
두 클립간의 % 조정툴 정도로 보면 될것 같다

Rate Strech Tool

위의 툴들은 실제로 내용을 줄이거나 늘리는게 아니라 보여지는 in out 점만
설정하는 것임에 반해 이 툴은 실제 내용을 늘리거나 줄임으로써
슬로우나 패스트 모션이 되게 한다

Razor Tool

이 툴은 클릭해서 사용할 경우는 거의 없고 단축키로 사용한다
Ctrl+k 이지만 엄청나게 사용하므로 1번 키로 변경할 것을 추천한다

Slip Tool

클립의 내용물을 미끌어 트린다. 무슨 말이냐면 내용물의 in out 점을 변경한다
예를들어 어떤 영상의 클립이 있는데 이 클립의 내용이 영상의 중간지점 10초라고 하자
여기서 영상의 시작부분을 in 점으로 잡는 10초로 만들려면
앞의 in 부분을 시작점까지 쭈욱땡기고 뒷부분도 쭈욱 땡겨줘야한다
하지만 Slip Tool 을 사용하면 클립 10초는 그대로고 안의 in out만 변경할 수 있다
Slip Tool 로 드래깅할때 패널에 현재 시작시간과 끝시간 그리고 각각의 화면이 나타나니
보면서 알맞게 조절할 수 있다

Slide Tool

일반 툴로 이동시키는 것과 다른 점은
연결된 다른 클립의 in out 점을 변경시킨다.
예를들면 1,2,3 클립이 있다고 하자. 여기서 세개는 딱 붙어있고
2번을 3번쪽으로 드래깅하면 1번의 out이 2번에 딱 붙어 늘어난다. 반대로 3번의 in 점은 2번 끝점에
붙어 줄어든다. 이걸 일반툴로 재현하면 3번은 똑같은 현상이 일어나지만 1번은 늘어나지 않고
그냥 공간(Ripple)만 생긴다

Pen Tool

펜툴은 타임라인상에서 키프레임을 쉽게 만들고 조정할때 쓰인다
키프레임의 개념 바로가기
타임라인상에서 키프레임을 조절한 그래프를 보이게 하는 방법은
첫째로, 트랙헤더위쪽의 스페너 모양의 환경설정에서 키프레임을 보이게 하는가를
체크해야한다. 기본적으로 체크되어 있지 않으니 체크해야한다
둘째로, 트랙자체의 높이를 키워야 그 안에 설정선이 보인다. 트랙헤더의 위아래 경계를
드래그해서 확장하거나 트랙헤더의 빈부분을 더블클릭하면 보이게 된다
선부분에 클릭하면 키프레임이 추가되고 이동시에도 그대로 클릭해서 드래그하면된다
곡선효과를 줄려면 Ctrl 키를 누른채로 드래그하면되고 드래그대신 그냥 클릭하면
곡선효과를 취소한다
이펙트 패널과 달리 타임라인상에선 공간의 제약으로 효과 그래프가 한줄만 보이며
기본적으로 비디오의 경우 투명도(opacity), 오디오의 경우 볼륨이다
선을 그대로 올리고 내리면 이펙트의 수치가 전체적으로 변한다
예를들어 오디오 트랙의 선을 아래로 내리면 클립전체 볼륨이 줄고 올리면 볼륨이 오른다
키프레임을 추가하면 원하는 부분만 조정가능하며
이펙트 그래프, 선의 경우 클립 오른쪽 클릭 메뉴의 가장 아래의
Show Clip Keyframes 에서 고를 수 있다.
이때 오디오랑 비디오가 링크되어 있으면 오디오쪽만 고를 수 있으니
처음부터 clip을 선택할때 alt 키로 개별적으로 선택하길 바란다

클립 기초 개념

클립은 원본에서 일정부분을 자른다는 개념이 아니라
원본을 통채로 복사해왔지만 보여질 부분의 시작(in)에서 끝(out) 부분만 보이게
해놓고 가린 상태라고 보면 된다.
결국 클립을 늘이고 줄이는 것은 보여질 부분을 조정하는 것이다

프리뷰 옵션

cc 이전버전은 프리뷰창의 위의 3줄짜리 아이콘을 클릭하면 옵션이 펼쳐졌지만
cc 이후에는 프리뷰 타임근처의 스패너 아이콘을 클릭해야한다

loop를 지정해놓으면 재생시 in 으로 날라가서 out 과의 사이를 반복하고
지정해 놓지 않으면 재생시 현재 타임지시자에서 재생을 시작한다

여러 클립 드래그

클립을 드래깅할때 여러개를 선택했음에도 실질적으론 한개만 드래깅된다
여러개를 하고 싶으면 드래깅 커서]가 나타날때 그냥 클릭하면
그 커서가 그 클립에 달라붙게되는데 shift와 함께 쓰면 여러클립에 붙일 수 있다.
그상태에서 드래깅 하면 여러클립을 함께 드래그가 가능하게 된다

여러 클립 speed/duration

그냥 늘이거나 줄이면 각 클립들이 서로간의 간격따윈 무시하고 줄어들거나
커진다. 그래서 공간(ripple) 이 발생하거나 반대로 겹치게 되는데
speed/duration팝업 아래쪽의 ripple.. shift 어쩌구 체크하면 알아서 간격 조절해준다

여러 클립 fade 등 트랜지션 적용

먼저 이펙창에서 원하는 트랜지션을 오른쪽 클릭해서 디폴트로 설정해준다
그 후 여러 클립 선택해서 ctrl+d
혹은 여러 클립 선택후 그냥 오른쪽 클릭 팝업은 다른 메뉴가 뜨고
위처럼 드래깅 커서 ] 가 뜨게 가장자리로 간후 오른쪽 클릭하면
apply default transitions 가 뜬다. 그거 선택하면 적용

Written with StackEdit.

Related Posts:

  • 이오스 다이스(주사위) 토큰 BET의 전망목차 이오스 주사위 흥하다 어떤 게임이길래 왜 인기가 있는가 BET 토큰 리스크와 기대 마치며 (추가) 10월 20일 현재 상황 이오스 주사위 흥하다 eosbetdice11 라는 계정에서 시작한 간단한 앱인 이오스 다이스는 이더롤이라는 게임을 모델로 시작한 아류작이었습니다만.. https://eosflare.io/account/eosbetdice11 오픈한지 고작 일주… Read More
  • 비트코인(블록체인) 초보 입문 - 비트코인의 개념목차 돈이란 무엇인가 가상화폐 비트코인의 등장 돈이란 무엇인가 돈이 가치를 지니는 것은 뒤에 누군가가 중재해주기 때문이다. 카지노의 칩을 생각해보라 이런 장난감이 가치를 지닐 수 있는건 해당 카지노가 보증을 서주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현실의 돈은 각각의 국가가 보증을 서줌으로써 가치를 지닌다. 만약 전쟁이라도 일어나면 해당 국가의 지폐가치가 확 떨어지는 것은… Read More
  • 코딩교육에 대한 기대감목차 코딩교육 2박 3일 54만원짜리.. 코딩교육 내년부터 코딩 교육이 의무교육이 됩니다. 코딩은 다른 공부에 비해 결과를 직접 바로바로 볼 수 있으므로 굉장히 재밌고 그러한 재미를 통해서 논리적 사고를 쌓는데 최고의 도구라고 할 수 있죠 ��내 아이 ‘코포자’ 안돼 - 네이버기사 그렇지만 이좋은 교육도 한국패치를 당하고 나면 이렇게 되어버립니다. 그… Read More
  • Windows 10 시작메뉴 꾸미기목차 윈도우10 시작메뉴의 특징 시작메뉴를 꾸미기 위한 준비 시작메뉴 꾸미기 - 아이콘 지정 시작메뉴 꾸미기 - 연결 왜 이렇게 귀찮게? 윈도우10 시작메뉴의 특징 Windows10 시작메뉴는 윈도우7의 시작메뉴와 윈도우8의 메트로타일을 합쳐놓은 스타일이다 거기에 웹과 윈도우내에서 필요한 것을 찾는 강력한 검색기능이 추가 되었다. 원래는 이 검색기능의 웹부분에서 다… Read More
  • 2FA와 OTP의 원리목차 2FA (Two-Factor Authentication) OTP OTP 원리 2FA (Two-Factor Authentication) 2FA는 이중인증이라고 불린다. 곧 소개할 OTP 처럼 코인계에선 무조건 필수이다. 정작 스팀 사이트에선 지원하지 않는게 엄청난 에러긴한데 그 대체로써 마스터 패스워드를 컴퓨터와 완전 분리해두는 방법이 있긴하니 숙지해두자. 여튼 … Read More

0 개의 댓글 :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