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12월 5일 금요일

프로그래밍에서 용어와 영어의 중요성

이름 짓기

프로그래밍을 배우면서 영어권 애들이 진짜 부러웠던게

바로 이 언어문제다. 어떤 프로그래밍 용어든.. 그것이 선정될 때는

개 이름 짓듯이 별탱이, 다롱이처럼 하지 않고

가장 그것의 용도를 적합하게 나타내는 이름으로 짓는다

그래서 용어가 자국어인 사람들은 훨씬 빨리 이해하고 배울 수 있다

영어권이 아닌 나라들

그럼 영어권이 아닌 나라들은?

당연하지만 번역해서 쓴다

그중에선 도저히 번역으로 의미전달이 힘든 것도 있고

번역은 했지만 용어로써의 길이때문에 적합하지 않은 것들도 있다

하지만 한가지 확실한 건 완전히 어려운 용어라 안쓰는 것들을

올리는 수도 있지만 주로 실생활을 접목해서 사용할려고 한다는 것이다

한국의 불리함

한국에선 어떤 용어가 있을 때 직접 번역하지 않고

옆나라껄 번역해서 들여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히 한자로..-_-;;;

분명히 서로 의미를 알고 있고 같이 쓰는 것이다

하지만 실생활에서 사용률은 압도적으로 다르다

그 말은 이해률도 천지차이란 것이다

중국은 말할 것도 없지만 일본도 한자용어를 썼을때

읽을때는 순일본어, 즉 자신의 생활어로 읽는 것들이 많다

용어를 제대로 못 만드는 한국의 지식인들

위에 링크의 글대로 광케이블을 일본에선 같은 광이더라도

히카리, 우리나라의 빛이라는 글자로 읽는다.

그래서 한국에선 번역이랍시고 해놓은 용어들을

개인적으로 다시 번역해야되는 촌극이 벌어진다

글자자체의 의미를 분석한 후 그걸 바탕으로

프로그래밍에서의 의미분석을 해야 되는 것이다

상수, 매개변수, 인자… 걍 번역하지 않았으면 나을 용어가 수두룩하다

영어 그 자체의 의미

그래서 책에서 용어가 나왔을 때 영어 그 자체의 의미를 찾는 것은

이해에 커다란 도움이 된다

특히나 사전 검색때 예문으로 그 용어가 실제 생활에 어떻게 쓰이는 지를 보면

더욱 이해가 쉽다

또한 프로그래밍 자체에서의 키워드들..

예를들어 상속의 경우는 extends 인데.. 괜히 키워드라고 부르는 것이 아니다

결론

책에서 용어에 대한 설명은 어떻게 쓰는지 알려주는 중요한 것이다

하지만 어떻게 써져온 용어인지를 알면

프로그래밍에서 왜 그렇게 사용했는지 어느 순간 확 와닿게 된다

그러기 위해서 용어를 봤을 때 영어로써의 의미를

먼저 검색하는 습관을 들이자


Written with StackEdit.

Related Posts:

  • 프로그래밍과 프로그래밍언어의 개념목차 프로그래밍(Programming) 용어적 의미 기계어와 컴퓨터 새로운 프로그래밍 언어의 등장 내가 처음 프로그래밍이란 용어를 접했을때의 이미지는 이랬다.-ㅅ- 뭐 비슷한 점도 있지만 실제로 여기에 무슨 우주적 신비가 깃들어 있다거나 하진 않고 충분히 이해가능한 것이다 그래서 초보입장에서 네오랑 만나지 않게 한번 설명해보겠다 프로그래밍(Programming) 용어… Read More
  • xpath 의 개념과 문법목차 xpath의 개념 xpath의 Node xpath 문법 element xpath의 개념 우린 파일을 찾을때 탐색기를 이용한다 탐색기는 미지의 장소를 그냥 탐험하는게아니라 길, 즉 path를 따라가서 원하는 곳을 찾아내는데 C:\windows\System32\important\왜가리 위와 같은 형식이고 이것이 윈도의 path 문법이다 마찬가지로 xml도 원하는… Read More
  • 컴퓨터와 이진수목차 이진수란 컴퓨터에서의 이진수 이진수란 두 가지의 표현방식을 가지는 것을 이진법이라 한다 세 가지라면 삼진법, 네 가지라면 사진법이다 수업시간에 질문하기를 손을 들고 내리는 방식으로 정의하면 이진법이다. 손을 든다, 내린다 두가지이므로.. 일주일은 요일을 표현하는 7진법이다 그러한 진법들의 각 표현에다가 수로 대응한 것이 진수이다 이진수의 경우 두 가지 표현의 각… Read More
  • ByteArrayOutputStream 사용먼저 outputstream 이니 개념부터 보는 것이 좋다( 링크 - 입출력 스트림의 개념 ) ByteArrayOutputStream는 실질적으로 저장소로 사용된다 즉, 바이트 배열 저장소나 다름없다 왜 byte[]에 저장하지 않고 번거롭게 저기다가 저장하는 것일까 사실은 ByteArrayOutputStream 역시 byte[]에 저장한다 내부적으로 byte[]에 저장하고 그걸 새로운 데이터… Read More
  • 안드로이드 merge 와 include 레이아웃 기법목차 merge태그와 include태그 소개 include 태그 merge 태그 merge태그와 include태그 소개 안드로이드의 레이아웃의 멋진 기법으로 include와 merge 라는 것이 존재한다 공식홈피와 블로그에서도 소개해놨따 http://developer.android.com/training/improving-layouts/reusing-layouts.h… Read More

댓글 3개 :

  1. 전체적인 의미는 공감합니다만

    한자가 중국어라는 건 사실이 아닙니다.

    1. 일단 한자는 문자입니다. 말이 아닙니다. 즉 말이 달라도 문자는 같을 수 있습니다(알파벳)

    2. 다시 말해서 한자는 과거 동양의 공용 문자인 것입니다. 이걸 우리가 알고 있는 한나라 한(즉 한족이라고 쓸 때의 한)을 사용한 게 송나라인 걸로 압니다. 즉 한족들이 공용문자를 자기네 문자라고 칭한 겁니다. 미국이 알파벳을 자기네 문자라고 쓰고, 그래서 영국인이 "왜 우리는 미국의 문자를 사용하나요?"라고 말한다고 생각해보세요(물론 당시 송나라 사람들이 원의 것과 대비하기 위해 한자라고 썼는데요, 애당초 원이 남쪽의 야만인들-송, 대부분 한족이겠죠-과 동화되는 걸 막고 전통을 유지하기 위해 자신들의 문자를 만들었거든요;;;)

    3. 게다가 한자는 표의문자로서, 보다 적은 문자수로 의미를 표현하는 게 가능합니다. 요컨데 한글과는 배척되는 관계인 것이 아니라, 보충적인 관계라는거죠.

    4. 게다가 애초에 세종대왕이 만든 것이 훈민정음으로, 훈민정자라고 표현하지 않았다는 것도 환빠들이 말했는지 어떤건지는 모르겠지만 일리가 있어 보입니다. 애당초 훈민정음을 보면 결국 "백성들이 한자도 모르고 불쌍하니까 이거라도 써라"는 거거든요.
    오히려 그런 의미가 아니고 한자를 대체할 의도였다면 한글의 창제가 불순한 의도가 되지 않을까 싶네요.

    답글삭제
  2. 그리고 제가 최근 한글 코딩을 연습해보고 있는데요.
    한자와 한문과 영어를 한글로 독음하는 것을 섞어쓰는 것이 효율이 굉장히 좋습니다.
    물론 길어진다는 단점이 있는데요. 카멜타입을 사용불가의 단점을 덮어버리고도 남습니다. 단순 계산으로 똑같은 단어을 3가지로(한자, 한문, 한글) 표현이 가능하다는 거니까요. 300%이상의 표현력인거죠.

    답글삭제